본문 바로가기
Technology/Blockchain

7. 작업증명 vs 지분증명 비교 [2]

by 평범한하루하루 2022. 6. 11.
728x90
 

블록체인 기초

  1. 블록체인 동작 방법
  2. 블록체인 기술용어 쉽게 설명 [1]
  3. 블록체인 기술용어 쉽게 설명 [2]
  4. 블록체인 변천사
  5. 블록체인 네트워크 유형
  6. 작업증명 vs 지분증명 비교 [1]
  7. 작업증명 vs 지분증명 비교 [2]
 

암호화폐 마인드맵

마인드맵 작성 배경 현재 저희가 공부하는 개념들을 더 큰 틀에서 정리하고 쉽게 접근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이 마인드맵으로 정리했습니다. 새로운 게시글을 작성할 때마다 업데이트된 마인드

rewarding-day.tistory.com


이전 내용 정리

  • 이전에는 비트코인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검증 방안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이번에는 카르다노(에이다) 등의 암호화폐가 사용하고 있는 검증 방안인 지분증명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합니다. 이더리움도 현재 작업증명 방식을 벗어나 지분증명 방식으로 변경할 예정입니다.

 

지분증명(Proof-of-Stake, PoS)

  • 지분증명은 채굴 작업이 아닌 더 많은 지분(블록체인 내 암호화폐, 코인 등)을 지니고 있을수록 그에 비례하여 블록에 기록할 권한이 더 많이 부여됩니다.지분증명은 작업증명과 달리 작업(채굴) 없이 지분을 가지고 검증이 이루어지는 방법론입니다. 예를 들어, 주주총회에서 주식 지분율에 비례하여 의사결정 권한을 가지는 관점과 유사합니다. 지분(코인)을 가진 모든 사용자가 합의를 통해 블록에 정보를 추가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게 되고, 그중에서 지분을 더 많이 가진 참여자에게 더 많은 권한을 주어지게 됩니다. 블록이 생성될 때 지분에 대한 이자, 배당의 개념으로 보상이 지급되는 형태입니다. (주식과 매우 유사한 시스템이라서 저도 놀랐습니다.)

작업증명과 지분증명 비교한 자료 (출처: Linda Clore)

 

  • 작업증명과 달리 컴퓨팅 자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참여자들이 최소한의 암호화폐를 스테이킹 하거나 락업시켜 네트워크에 직접적으로 참여하도록 합니다. 지분증명은 자신이 갖고 있는 지분에 비례하여 트랜잭션(거래)을 검증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해당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쓰이는 코인을 갖고 있어야 합니다.
    • 스테이킹: 본인이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자산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맡기는 방식으로 우리가 돈을 은행에 맡기는 예금과 구조가 유사합니다.
    • 락업: 특정 기간 동안 보유한 가상자산을 맡겨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입니다. 이벤트가 종료되면 리워드(이자 수익, 상품)를 참여하신 가상자산과 함께 돌려드리는 서비스입니다.
  • 작업증명의 경우에는 잠재적으로 채굴장들을 통해서 (중앙)집중적으로 작업 채굴이 됩니다. 반면에 지분증명은 모든 참여자들의 의사를 물어보는 관점이기 때문에 탈중앙화에 조금 더 가깝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요약 및 후기

  • 작업증명과 지분증명이라는 대표적인 블록체인 검증 방안들을 살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 두 가지 방안 외에도 PoH(Proof of Hodl), PoU(Proof of Use), PoST(Proof of Stake-Time), PoMAS(Proof of Minimum Aged Stake) 등 방안들이 존재합니다. 다음 페이지에서는 암호화폐(가상화폐)의 근본적인 가치를 확인하고 암호화폐 지갑과 거래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8. 암호화폐의 근본적인 가치

암호화폐(가상화폐) 기초 암호화폐의 근본적인 가치 암호화폐 지갑 알아보기 암호화폐 거래소 및 상장 이전 내용 정리 이전 페이지에서는 블록체인에서 사용되는 검증 방안들을 확인했습니다.

rewarding-day.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