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블록체인 기초
|
이전 내용 정리
- 저번에는 블록체인의 변천사를 빠르게 살펴봤습니다. 이번 페이지에서는 블록체인에서 다뤄지는 네트워크 유형별 특징과 쓰이는 환경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 유형
1. 퍼블릭 블록체인 (Public blockchain)
- 첫 번째 네트워크 유형은 퍼블릭 블록체인입니다. 퍼블릭 블록체인은 앞선 게시글에서 설명드렸던 일반적인 블록체인 네트워크 환경을 의미합니다.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는 사람은 누구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자가 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거래소에 암호화폐로 등록이 되어 있는 모든 블록체인이 퍼블릭 블록체인에 해당됩니다. (거래 내역이 투명하게 공개되어 있어 퍼블릭 블록체인에 해당됩니다.)
- 사용자는 현재 및 과거 기록에 접근할 수 있고, 블록체인에 기록을 추가하기 위한 검증(마이닝) 활동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네트워크에서 유효한 기록이나 트랜잭션(거래 내역)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2. 프라이빗 블록체인 (Private blockchain)
- 두 번째 네트워크 유형은 폐쇄적으로 운영되는 네트워크인 프라이빗 블록체인입니다. P2P 연결 및 탈중앙화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과 유사하게 작동하지만 제한적인 환경에서 훨씬 작은 규모로 작동됩니다. 일반적으로 회사 또는 조직 내부의 소규모 네트워크에서 운영되는 네트워크입니다. 퍼블릭 블록체인과 달리 접근 권한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부분적으로만 분산되어 이용할 수 있습니다.
- 프라이빗 블록체인과 퍼블릭 블록체인 모두 단점이 있습니다.
- 퍼블릭 블록체인: 프라이빗 블록체인보다 새 데이터에 대한 검증 시간이 더 긴 경향이 있음
- 프라이빗 블록체인: 사기 및 악의적인 행위자에 더 취약함
- ※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컨소시엄 및 하이브리드 블록체인이 개발됨
3.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Hybrid blockchain)
- 세 번째 하이브리드 블록체인은 퍼블릭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특징을 부분적으로 결합한 블록체인입니다. (프라이빗 블록체인 특징) 단일 조직에 의해 블록체인이 운영되면서 (퍼블릭 블록체인 특징) 공개할 트랜잭션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하이브리드 블록체인의 예로는 전체 식품 공급망의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IBM Food Trust가 있습니다. 추후에 다뤄보겠습니다.)
4. 컨소시엄 블록체인 (Consortium blockchain)
- 마지막 컨소시엄 블록체인은 여러 조직에 의해 운영되는 폐쇄적인 네트워크입니다. 프라이빗 네트워크와 달리 단일 조직이 아닌 다수의 조직(회사)에 의해서 동작하는 환경입니다. 따라서 컨소시엄 블록체인은 프라이빗 블록체인보다 더 많은 탈중앙화를 누리므로 더 높은 수준의 보안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컨소시엄 환경을 구축하는 것은 여러 조직 간의 협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복잡한 과정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시스템을 갖추기 위해서 초기 비용이 많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요약 및 후기
- 사용자 권한을 기준으로 분류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유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퍼블릭 블록체인은 대부분 암호화폐 거래소에 등록되어 있는 코인에 해당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리고 프라이빗, 하이브리드, 컨소시엄 블록체인은 특정 기업에서 보안과 자동화 시스템을 갖추는 경우 활용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다음 페이지에서는 블록체인 활용 기술인 Web3.0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Technology > Blockcha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작업증명 vs 지분증명 비교 [2] (0) | 2022.06.11 |
---|---|
6. 작업증명 vs 지분증명 비교 [1] (0) | 2022.06.10 |
4. 블록체인 변천사 (4) | 2022.06.08 |
3. 블록체인 기술용어 쉽게 설명 [2] (0) | 2022.06.07 |
2. 블록체인 기술용어 쉽게 설명 [1] (0) | 2022.06.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