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스마트 컨트랙트 생태계
|
이전 내용 정리
- 저번에는 암호화폐 거래소의 역할 및 거래소 상장 방안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 이번에는 1세대 블록체인인 비트코인에서 2세대 블록체인인 이더리움이 탄생되면서 적용된 핵심 기술인 스마트 컨트랙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해당 기술을 통해 이더리움은 대표적인 확장성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했기 때문에 핵심적인 기술로 여겨지고 있어 같이 확인해 보겠습니다.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 스마트 컨트랙트는 계약과정을 디지털적으로 접근한 개념입니다. 이는 블록체인 상에서 이뤄지는 전자 계약서로 이루어지며, 계약 당사자들끼리 합의한 내용 및 조건이 충족되면 자동으로 시랭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다양한 형태(금융거래, 부동산 계약, 공증 등)의 계약을 접목시킬 수 있으며, 이더리움 플랫폼에서 도입된 기술입니다.
- (아래 사진 설명) 예를 들어, 부동산 매도할 경우 부동산 매매 계약의 내용이 담긴 스마트 컨트랙트를 검증 받습니다. 검증이 완료된 내용(블록)은 블록체인에 등록됩니다. 부동산의 매수인은 블록체인 상에서 공개(블록체인 투명성 특징)되어 있는 스마트 컨트랙트의 내용을 확인하고 실행하기 위해 서명합니다. 이후 부동산 매수자가 스마트 컨트랙트에 담긴 내용에 따라 부동산 매매 대가에 해당하는 디지털 자산(암호화폐 등)을 매도인에게 이전하게 되면 등록된 부동산의 소유권이 매수자에게 자동으로 이전됩니다. (이때 블록체인 상에서의 스마트 컨트랙트는 전부 공개되어 있어 확인이 가능합니다.)
- 결국 (이더리움의) 기존 계약과 동일하게 조건과 수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정한 조건이 만족할 경우 그에 따른 수행과정이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스마트 컨트랙트의 조건과 수행 (위 예시)
- 조건: 일정 금액을 송금하여 부동산을 매수하는 경우
- 수행: 부동산 소유권이 매수자에게 자동으로 이전
- 스마트 컨트랙트의 조건과 수행 (위 예시)
- 프로그래밍된 내용으로 조건과 수행 과정을 속에서 아래와 같은 장단점을 갖게됩니다.
- 스마트 컨트랙트 장단점
- 장점: 스마트 컨트랙트는 중개자가 필요 없으며, 네트워크의 모든 사용자가 계약에 대한 내용을 확인 또는 증명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래밍된 코드를 사용한 계약이기 때문에 모호하게 판단이 안 되는 부분이 적은 특징도 있습니다.
- 단점: (사람의 실수로 발생되는 문제가 덜 발생합니다.) 하지만 반대로 초기 계약 설정이 잘못되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조건에 만족하는 기준과 근거가 명확하지 않을 경우도 존재합니다.
- 스마트 컨트랙트 장단점
요약 및 후기
- 스마트 컨트랙트는 블록체인 상에서 조건과 수행 개념을 도입해서 자동으로 계약 진행할 수 있는 프로세스입니다.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정말 중요한 개념을 살펴본 시간이었습니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블록체인 다음으로 가장 핵심적으로 다뤄지는 요소기술이며, 해당 기술을 기반으로 확장된 관점들이 정말 다양합니다. 예를 들어서, 여러분께서 가장 잘 알고 계신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 토큰), DApp(Decentralized Application,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생태계가 존재합니다. 앞으로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기술들을 살펴볼 예정이며, 첫 번째로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한 Web 3.0 환경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 블로그를 방문해 주시는 분들은 항상 투자에 유의해 주시기 바라며 관련 글을 투자의 근거로 사용하지 않길 바랍니다.
'Technology > Blockcha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 Web3.0 기술 스택 (1) | 2022.07.22 |
---|---|
15. Web3.0 변천사 및 활용 예시 (0) | 2022.07.08 |
13. 이더리움 변천사 (0) | 2022.06.22 |
12. 가상화폐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비교 (1) | 2022.06.20 |
암호화폐 마인드맵 (0) | 2022.06.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