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echnology/Blockchain

16. Web3.0 기술 스택

by 평범한하루하루 2022. 7. 22.
728x90
 

스마트 컨트랙트 생태계

  1. 가상화폐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비교
  2. 이더리움 변천사 및 특징
  3. 스마트 컨트랙트(스마트 계약)
  4. Web3.0 변천사 및 활용 예시
  5. Web3.0 기술 스택
  6. 디앱(DApp) 이란?
 

암호화폐 마인드맵

마인드맵 작성 배경 현재 저희가 공부하는 개념들을 더 큰 틀에서 정리하고 쉽게 접근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이 마인드맵으로 정리했습니다. 새로운 게시글을 작성할 때마다 업데이트된 마인드

rewarding-day.tistory.com


이전 내용 정리

  • 저번에는 Web1.0~3.0까지 특징을 확인했습니다. 이번에는 명확히 정의되지 않은 Web3.0 stack이라는 존재를 살펴보고 사용되는 기술들을 알아보겠습니다. (공부하는 입장에서 이번 페이지가 가장 중요한 파트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생태계가 확장되는 기반을 다루는 내용이기 때문입니다.)

 

Web3.0 stack

Appinventiv에서 가정한 Web3.0 stack (출처: Appinventiv)

 

  • 위의 사진 자료의 경우 Web3.0에 대한 틀을 나타내고 아래 사진 자료는 기존 Web3.0 기술들의 묶음으로 나타낸 형태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희는 두 가지 구조에 대해서 모두 기억해둘 필요가 있습니다. 위 사진 속에 담긴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P2P 네트워크에서 연결된 사용자들끼리 다양한 환경(정보 저장, IoT, 검증)을 기반으로 이용하는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의 화면(브라우저) 의미합니다. 풀어서 아래와 같이 설명할 수 있겠습니다. (위 사진을 역순으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 인터넷 상의 정의된 네트워크 환경
    • P2P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용자들(노드, Hardware Clients)
    • 사용자간 다양한 환경에 놓여 있음(스마트 계약 검증, 정보 저장, IoT 자동화 등)
    • 탈중앙화 어플리케이션 이용
    • 애플리케이션 화면 시각화

 

Coinbase에서 가정한 Web3.0 stack (출처: Coinbase)

 

  • Coinbase 또한 Web3.0 stack은 아직 초기 단계에 놓여 있다고 합니다.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는 기술이기 때문에 정의된 형태가 없다고 합니다. (계층적으로 구성된 형태의 경우 위에 존재하는 계층은 아래 계층의 기능을 필수적으로 사용합니다. 아래 기술을 전부 사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 → Secure → NFT → Browser 순서로 연동되며, 각 계층마다 한 가지 이상의 기술을 연동시키게 됩니다.)
    • 프로토콜 계층 (Protocol Layer)
      • 다른 모든 것이 구축되는 기본 블록체인 아키텍처로 구성
      • Bitcoin의 경우 암호화 키를 사용하여 디지털 자산을 소유할 수 있는 환경을 개척함
      • Bitcoin에 이어 Ethereum, Solana, Avalanche, Cosmos 등과 같은 다양한 스마트 계약 플랫폼이 등장했으며, 현재 생산 중인 많은 Web3 애플리케이션의 기반이 됨
        • *블록체인 변천사: Blockchain 2.0~3.0 시기에 많은 발전이 가져다줌
      • *프로토콜: 통신 규약, 컴퓨터 사이에서 정보 교환이 원활하게 진행되기 위한 통신 규약
    • 인프라 / 초기의 카테고리 (Infrastructure / Category Primitives)
      •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요소 기술들의 묶음 (프로토콜 계층 위에서 작동)
      • 데이터 저장, 스마트 계약 신뢰성 or 타당성 검사, ID 솔루션
        • ID 솔루션 예시: ENS(Ethereum Name Service)은 이더리움 지갑 주소 “asdasf123124xqwr..”를 “mywallet.eth”으로 검색 가능하도록 함
          • 이는 인터넷 주소(192.168.0.1)를 도메인 주소(google.com)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환경과 유사함
    • Use Case Layer
      •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 Game, NFT, Financial Services 분류가 확인됨
    • Access Layer
      • 암호화폐 지갑, 브라우저, Web2.0을 연동시킬 수 있는 기술도 확인됨

 

요약 및 후기

  • Web3.0 stack 관련해서 콘셉트를 확인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앞으로 저희가 확인할 내용이 너무 많기 때문에 해당 페이지에 언급된 내용들을 기반으로 차근차근 공부할 예정입니다. 다음 페이지에서는 블록체인 위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인 디앱(DApp, Decentralized application, 탈중앙화 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7. 디앱(DApp) 이란?

스마트 컨트랙트 생태계 가상화폐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비교 이더리움 변천사 및 특징 스마트 컨트랙트(스마트 계약) Web3.0 변천사 및 활용 예시 Web3.0 기술 스택 디앱(DApp) 이란? 암호화폐 마인드

rewarding-day.tistory.com

※ 블로그를 방문해 주시는 분들은 항상 투자에 유의해 주시기 바라며 관련 글을 투자의 근거로 사용하지 않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