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스마트 컨트랙트 생태계
|
암호화폐 마인드맵
마인드맵 작성 배경 현재 저희가 공부하는 개념들을 더 큰 틀에서 정리하고 쉽게 접근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이 마인드맵으로 정리했습니다. 새로운 게시글을 작성할 때마다 업데이트된 마인드
rewarding-day.tistory.com
이전 내용 정리
- 이전에는 이더리움의 스마트 컨트랙트에서 작동하는 Web3.0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이번에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기반으로 도입된 탈중앙화 네트워크 환경의 애플리케이션인 DApp(DApp, Decentralized application, 탈중앙화 앱)에 대해서 말하고자 합니다. DApp은 이더리움, 이오스, 트론과 같은 플랫폼 코인 위에서 작동하며, 상호작용하는 데이터들이 각 플랫폼 블록체인에 기록되고 불러내어지는 애플리케이션입니다.
DApp 이란
- 탄생 배경
- 이더리움의 스마트 계약 개념이 도입되면서 블록체인 위에서 DApp이 다뤄지기 시작합니다.
- 기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경우 구글 플레이(구글)와 앱스토어(애플)에서 개인정보를 입력해서 회원 가입하고 다운로드하여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DApp에서 계정을 만들 경우 플랫폼(이더리움, 이오스 등)의 블록체인 지갑을 보유하면 이용이 가능하다. 해당 블록체인 네트워크 서비스에 참여함으로써, 보상으로 받는 암호화폐를 저장하고 거래하기 위한 지갑을 준비하는 관점입니다.
- 또한 기존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특정 중앙화 된 관리자(기업)에서 서버를 운영하고 관리하는 유지비용이 DApp에서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DApp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중앙 서버 없이 네트워크상에 정보를 분산하여 저장 및 구동하는 앱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Dapp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서비스를 유지하는 주체로써 운영됩니다. 전 세계 DApp의 약 80% 정도가 이더리움 플랫폼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DApp이 작동하는 플랫폼 위에서 상호작용하는 데이터들은 해당 플랫폼 블록체인에 기록되고 읽히는 애플리케이션입니다. DApp은 스마트폰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운영체제에서 구동된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아이폰은 iOS 운영체제(OS)를, 갤럭시는 안드로이드 OS를 사용하지만, DApp의 경우 블록체인을 이러한 OS라고 합니다. (이더리움 DApp, 이오스 DApp 등)
- 대표적인 이더리움과 이오스 DApp생태계에는 가스라는 개념의 수수료가 존재한다. 가스비용은 DApp에 적용된 스마트 계약이 실행될 때 발생되는 수수료 개념이다. 자동차가 움직이려면 연료인 가스가 필요하듯이, DApp이 작동하려면 수수료인 가스가 필요하다는 의미이다.
- 이러한 DApp을 개발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라고 판단된다. 이유로는 DApp의 경우 지정된 계약을 통해서 시스템이 동작되어 더 이상 계약을 변경할 수 없다는 점 때문이다. 만약 오류가 발생할 경우 사용자들의 암호화폐를 잃어버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요약 및 후기
- 이번에는 기존 App과 DApp의 차이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 스마트 계약을 기반으로 확장된 기술인 DApp은 플랫폼 블록체인에 구축 생태계 중에 하나입니다. DApp처럼 스마트 계약 기반의 활용들을 살펴볼 예정입니다. 계속해서 새롭게 개발되거나 발전되는 블록체인 생태계를 넓은 안목으로 확인하겠습니다.
※ 블로그를 방문해 주시는 분들은 항상 투자에 유의해 주시기 바라며 관련 글을 투자의 근거로 사용하지 않길 바랍니다.
'Technology > Blockcha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 블록체인 기반 송금: 해외 송금의 새로운 방법 (0) | 2023.01.29 |
---|---|
18. 온라인 결제 및 은행 업무에서 블록 체인의 역할 (0) | 2023.01.29 |
16. Web3.0 기술 스택 (1) | 2022.07.22 |
15. Web3.0 변천사 및 활용 예시 (0) | 2022.07.08 |
14. 스마트 컨트랙트(스마트 계약) (0) | 2022.06.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