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echnology/Blockchain

15. Web3.0 변천사 및 활용 예시

by 평범한하루하루 2022. 7. 8.
728x90
 

스마트 컨트랙트 생태계

  1. 가상화폐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비교
  2. 이더리움 변천사 및 특징
  3. 스마트 컨트랙트(스마트 계약)
  4. Web3.0 변천사 및 활용 예시
  5. Web3.0 기술 스택
  6. 디앱(DApp) 이란?
 

암호화폐 마인드맵

마인드맵 작성 배경 현재 저희가 공부하는 개념들을 더 큰 틀에서 정리하고 쉽게 접근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이 마인드맵으로 정리했습니다. 새로운 게시글을 작성할 때마다 업데이트된 마인드

rewarding-day.tistory.com


이전 내용 정리

  • 이전에는 이더리움이 확장성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게 된 핵심 기술인 스마트 컨트랙트(스마트 계약)에 대해서 같이 공부했습니다. 이번에는 전 세계적으로 열광받고 있으며 거품이라고도 여겨지고 있는 Web3.0이 무엇인지 확인하겠습니다. 아마도 여러분은 블록체인에 대해서만 앞에서 설명하다가 연관성도 없는 Web3.0을 왜 갑자기 설명하는지 궁금할 겁니다. 사실 Web3.0은 블록체인 위에서 동작하는 인터넷 환경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Web3.0 인터넷 환경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이 DeFi, NFT 같은 친구들입니다. 블록체인이 활용되는 넓은 생태계를 배우는 단계인만큼 간략하게 핵심 특징들이 살펴보겠습니다.

 

전세계 Web3 관련 구글 검색 관심도 (출처: Google Trends)

 

Web 변천사

  • 위 사진에서 보이듯 전세계적으로 구글에 “Web3.0”이 검색되는 횟수는 날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갑자기 Web3.0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가 무엇일까? Web3.0이고 하는 것을 보면 Web1.0과 Web2.0도 존재할 것 같은데 이들은 무슨 차이를 갖고 있을까?
  • 어떤 설명보다 시각적인 자료가 가장 탁월하다고 생각된다. 아래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각 시대에 해당되는 서비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들은 서로를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이 존재합니다. 코인베이스라는 암호화폐 거래소의 Web 시대별 설명을 인용하자만 아래와 같습니다. (Web의 역사는 매우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신 블로그들이 많아서 아래 참고 링크로 걸어뒀습니다.)
    • Web1.0: Read-only → (읽기) 사용자가 웹에 접근해서 정보를 일방적으로 확인만 가능한 시대
    • Web2.0: Read-write → (읽기, 쓰기) 사용자가 중앙 집중식 플랫폼에서 읽고 쓸 수 있는 시대
    • Web3.0: Read-write-own → (읽기, 쓰기, 권한) 사용자에게 콘텐츠에 대한 완전한 소유권을 부여한 시대
  • Web3.0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탄생된 웹이기 때문에 탈중앙화 특징으로 본인이 제작한 콘텐츠가 개인 소유된다는 사실이 바로 이해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면 유튜브는 중앙 집중적으로 사용자가 등록하는 콘텐츠로 수익을 창출합니다. 수익의 일부는 콘텐츠를 제작한 사람에게 나눠주지만 전체 수익에서 얼마큼 나눠주는지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Web3.0의 경우 사용자에게 수익을 특정 비율로 제공하는지 스마트 계약 알고리즘으로 투명하게 제공됩니다. 저희는 이러한 관점에서 Web3.0이 저희에게 기회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Web1.0 Web2.0 Web3.0 예시 (출처: Nazhim Kalam)

 

 

Web3.0 대표적인 활용 예시

  • 아래 자료를 보시면 놀라운 사실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예시로 들었던 콘텐츠 제작자의 수입 관련된 자료입니다. 페이스북(Facebook, 현재 Meta)의 경우 2.9억명의 사용자에게 평균적으로 0.1달러의 수익을 분배하며, 이더리움(Ethereum)의 NFT 시장인 OpenSea에서 2.2만 명의 사용자에게 평균적으로 17만 4,000달러(=대락 2.2억 원)의 수익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장 참여자에게 지불되는 수익의 비율 자체가 다르고 시장 규모도 상당히 큰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크리에이터 평균 수익 비교 (출처: a16z)

 

요약 및 후기

  • 제가 여러분에게 계속해서 이야기했던 기회에 대해서 말씀드려 보겠습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투자와 연구개발이 하루가 다르게 속도를 붙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투자하고 기대하는 분야들은 미래를 자동화시키거나 불편한 환경을 개선시키는 기술들입니다. 이제 점점 사람이 노동을 통해서 생계를 꾸려나갔던 시대는 끝나가고 있습니다. 본인만의 아이디어를 현실화시켜 수익을 창출하는 방안이 더욱 다각화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본인의 가치를 찾아가고 있습니다.
  • 이러한 이야기는 더 깊고 폭넓게 다루고 싶지만 아직은 시기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모든 것에는 타이밍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아직은 저희가 같이 공부한 부분도 한없이 좁은 영역이며, 트렌드와 컨셉만 보고 전부는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입니다. 현재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발자취(무엇이 부족해서 어떻게 발전했는지)를 알아야 합니다. 저 또한 성급하면 넘어지기 때문에 주변을 살펴보며 나아가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저희 가치를 같이 찾아봅시다.
  • 다음 페이지에서는 Web3.0의 기술 스택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16. Web3.0 기술 스택

스마트 컨트랙트 생태계 가상화폐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비교 이더리움 변천사 및 특징 스마트 컨트랙트(스마트 계약) Web3.0 변천사 및 활용 예시 Web3.0 기술 스택 디앱(DApp) 이란? 암호화폐 마인드

rewarding-day.tistory.com

※ 블로그를 방문해 주시는 분들은 항상 투자에 유의해 주시기 바라며 관련 글을 투자의 근거로 사용하지 않길 바랍니다.

'Technology > Blockcha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 디앱(DApp) 이란?  (0) 2022.08.05
16. Web3.0 기술 스택  (1) 2022.07.22
14. 스마트 컨트랙트(스마트 계약)  (0) 2022.06.24
13. 이더리움 변천사  (0) 2022.06.22
12. 가상화폐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비교  (1) 2022.06.2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