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스마트 컨트랙트 생태계
|
이전 내용 정리
- 저번에는 저희가 암호화폐에 대해서 기초적인 개념들을 살펴봤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암호화폐(가상화폐) 생태계에 사용되는 기술인 스마트 컨트랙트에 대해서 배울 예정입니다. 이번 페이지에서는 스마트 컨트랙트 아이디어를 처음 적용시킨 이더리움과 이더리움 이전 암호화폐 비트코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두 암호화폐의 특징 비교뿐만 아니라 시장에서 확인할 수 있는 수익률도 잠시 확인하고 가겠습니다.
수익률 비교 - 비트코인, 이더리움, 금, S&P500 (2020년 기준)
- 2020~2021년 기간에 코로나로 인해서 전 세계 경기가 계속 위축되면서 거의 모든 국가 중앙은행에서 화폐를 찍어냈습니다. 그로 인해서 현금 흐름이 암호화폐 시장과 주식시장으로 들어오면서 아래 사진과 같이 상당한 상승장을 볼 수 있습니다. 동일한 시기에 금과 S&P500은 큰 상승이 없었지만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300~450%의 상승을 보여줬습니다. (2021년에는 전체 시장이 크게 올랐습니다.) 암호화폐 시장 자체가 오래된 시장이 아니다 보니 정보 자체가 적고 기술적인 부분과 연관된 특징이 많아서 초기 진입장벽이 존재하는 편입니다. 코인시장을 바라보는 사람들의 관점은 단기적으로 긍정적이지 않지만 장기적으로 실생활에 스며들 시장으로 전망하는 분석가들이 많습니다. 저희는 남들과 다른 안목으로 장기적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기회를 쟁취하는 사람이 되고자 같이 공부한다고 생각합니다.
특징 비교 - 비트코인 vs. 이더리움
비트코인 | 이더리움 | |
출시일 | 2009년 01월 | 2015년 07월 |
발행 형태 | 한정된 발행(2.1천만 BTC) | 무제한 발행 |
검증 방안 | 작업 증명 (Proof-of-Work) | 작업 증명 (Proof-of-Work) → 지분 증명 업데이트 예정 |
트랜잭션 처리량 | 초당 7개 트랜잭션 처리 | 초당 30개 트랜잭션 처리 |
블록 생성 시간 | 평균 10분 소요 | 평균 15초 소요 |
통화 vs. 플랫폼 | 전통적인 명목 화폐(교환 매체, 가치 저장)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대안 | Ether를 통해 프로그래밍 방식의 계약 및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플랫폼 |
이더리움 특징
스마트 컨트랙트(플랫폼)
-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대표적인 특징은 위 테이블과 같습니다.저희가 뒤에서 다룰 대부분의 내용은 이더리움이 플랫폼적인 특성을 지니게 된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라는 기술입니다. 핵심 키워드인 플랫폼과 스마트 컨트랙트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 플랫폼: 컴퓨터 프로그램 사용자가 콘텐츠를 수용하고 발행할 수 있는 시스템 환경
- ‘구획된 땅’을 의미하는 ‘plat’과 ‘형태’를 의미하는 ‘form’의 합성어 = ‘구획된 땅의 형태’
- 경계가 없던 땅이 구획되면서 계획에 따라 집이 지어지고, 건물이 생기고, 도로가 생기듯이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활용될 수 있는 공간’을 상징적으로 표현
- 스마트 컨트랙트: 서면으로 이루어지던 계약을 코드로 구현하고 특정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해당 계약이 이행되는 작업
- 플랫폼: 컴퓨터 프로그램 사용자가 콘텐츠를 수용하고 발행할 수 있는 시스템 환경
- 사용자가 스마트 컨트랙트로 구축된 플랫폼에서 특정 작업(부동산 매수, 매도 등)이 수행될 경우 참여자들에게 검증을 받고 투명하게 정보가 공유되며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계약을 처리해주게 됩니다. 이러한 자동화 작업 처리와 탈중앙화적인 정보 투명화 등의 다양한 장점을 지니게 됩니다.
무한발행
- 이더리움이 무한 발행하는 것에 대해서 다양한 의견이 존재합니다. 무한 발행될 경우에는 화폐를 찍어내듯 가치가 떨어지는 관점으로 접근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더리움 측에서 무한 발행을 결정하게 된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 지분증명 검증방안을 이용할 경우 제한된 코인 발행으로 네트워크 보안이 유지될 수 있을지 확신할 수 없음
- 반대로 비트코인이 발행을 멈추면 보안 문제없이 유지가 될지 의문
- 수수료 소각으로 인플레이션 최소화하고 있음
- 지분증명 검증방안을 이용할 경우 제한된 코인 발행으로 네트워크 보안이 유지될 수 있을지 확신할 수 없음
검증 방안
-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에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작업증명 검증 방안은 아래 링크에 설명해뒀습니다.
- 현재 이더리움이 업데이트를 준비하고 있는 지분증명 관련 설명은 아래 링크에 글을 게시해뒀습니다.
처리속도 및 수수료 문제
- 이더리움이 지니고 있는 확장성과 플랫폼 특성은 충분히 대체 가능할 수 있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이더리움의 단점인 수수료 및 처리속도를 극복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이더리움 재단에서 진행했습니다. 다른 플랫폼들도 이런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고 있기 때문에 다른 플랫폼 간 경쟁구도가 생길 수밖에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간과해야 하지 말아야 하는 게 플랫폼 사용률과 개발비용입니다. 이더리움은 탄생 이후 독보적인 플랫폼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다른 암호화폐보다 많은 개발비용을 투자하고 있습니다.
요약 및 후기
- 현재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중국 봉쇄, 금리 인상 등과 같은 악재 때문에 전 세계적인 경기 침체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서 식량과 유가 가격이 상승하고 있으며, 중국 봉쇄가 진행되면서 중국 공장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들은 막대한 피해를 보고 있습니다. 올해 지속적인 금리 인상으로 인해 시장이 위축되고 악재가 해소되지 않고 있으며,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이런 시기에 90% 이상의 사람들은 시장을 뒤도 안 돌아보고 떠납니다. 하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이런 공포와 걱정은 반대로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충분히 이 생태계를 공부해둘 경우 저희가 기회를 잡을 것이라고 판단됩니다.
※ 블로그를 방문해 주시는 분들은 항상 투자에 유의해 주시기 바라며 관련 글을 투자의 근거로 사용하지 않길 바랍니다.
'Technology > Blockcha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 스마트 컨트랙트(스마트 계약) (0) | 2022.06.24 |
---|---|
13. 이더리움 변천사 (0) | 2022.06.22 |
암호화폐 마인드맵 (0) | 2022.06.17 |
10. 암호화폐 거래소 및 상장 (0) | 2022.06.15 |
9. 암호화폐 지갑 알아보기 (1) | 2022.06.15 |
댓글